로스차일드 가문(House of Rothschild)
로스차일드의 제국은 마이어 암셸 바우어(Mayer Amschel Bauer, 프랑크푸르트에서 1743년 출생)가 독일의 빌헬름 9세 당시 황태자가 미국 독립전쟁 참전 영국 병사들의 군수물자를 착복한 자금을 횡령하여 건설한 것이다.
바우어(후일 로스차일드로 이름을 바꾸었다)의 아들 네이선은 런던에 회사를 세우고 로스차일드 은행(N. M. Rothschild and Sons)을 설립했고 이어 파리, 빈, 베를린, 나폴리에도 지점이 생겼다. 네이선의 아들 라이오넬(Lionel)을 거쳐 네이선 마이어 로스차일드(Nathan Mayer Rothschild)는 잉글랜드 은행의 행장이 되었고, 1885년에는 하원 의원이 되었다. 그는 원탁 회의의 회원이기도 했다. 당시(1886-87년) 재무 장관 랜돌프 처칠(Randolph Churchill, 윈스턴 처칠의 아버지) 역시 로스차일드 가문의 지원을 받았고 나타니엘 로스차일드(Nathaniel Rothschild)의 친한 친구이기도 했다.
그밖에도 로스차일드 가에는 유명한 사람이 많이 있다.
빅터 로스차일드 경(Lord Victor Rothschild)은 KGB 스파이 조직의 "제 5의 인물"이라고 알려졌는데, 윈스턴 처칠 총리의 명령으로 "18b 규정(Regulation 18b)"에 따라 단순히 "의심스러운" 사람은 무조건 체포하고 수감할 수 있도록 했다. 에드워드 히스(Edward Heath) 내각에서는 정책 보좌관(1970-74)을 맡았고, 유럽 통합 운동에서 여러 가지 음모 작전을 수행한 비밀 조직을 이끌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또한 BBC의 사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에드먼드 드 로스차일드 남작(Baron Edmund de Rothschild)는 "부채 탕감법(debt for equity)"을 고안하여 제 3세계 국가들이 채무 이행을 위해 "환경적으로 위험한" 토지를 포기할 수 밖에 없도록 한 장본인이다.
에블린 드 로스차일드(Evelyn de Rothschild)는 현재 영국 지사(N. M.Rothschild)의 회장이며 홀링거 그룹(Hollinger Group) 소유의 데일리 텔레그래프(Daily Telegraph) 지의 이사를 맡고 있다.
관련 기업/가족
1800년대 후반부터 쿤롭 기업(Kuhn, Loeb and Co.)은 북미에서 수많은 기업을 사실상 지배해왔으나, 자신들이 지배하는 기업의 이름에는 "City"나 "First City"와 같은 이름을 넣어 지배 구조를 숨기고 있다. 밴쿠퍼 퍼스트시티 금융(First City Financial Corporation of Vancouver), 퍼스트시티 개발(Fist City Development Ltd.) 등이 대표적인 회사이다.
이러한 기업의 운영은 로스차일드의 뉴욕 지부(Rothschild Inc.)와 홀링거 그룹과 깊은 관계가 있는 캐나다의 파워콥(PowerCorp)이 대부분을 주도한다.
모건 제국(Morgan Empire)의 설립에서도 로스차일드 가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한다. 모건은 런던의 조지 피버디 주식회사(George Peabody and Co)를 모태로 1864년 설립되었고 피버디 사후 J. S. 모건 주식회사(J. S. Morgan and Co)로 이름이 바뀌었다. 피버디는 로스차일드의 대리인이었다고 한다. J. S 모건의 아들 존 피어폰트 모건(John Pierpont Morgan)이 경영권을 물려받으면서 현재의 J. P. 모건(J. P. Morgan)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모건 제국에는 제너럴일렉트릭(General Electric)과 모건 개런티 트러스트, 전미상업은행(National Bank of Commerce)등이 포함된다.
로스차일드 가는 워버그 가문(Warburg Family)과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데, 폴 워버그와 펠릭스 워버그는 현재 미국의 연방준비위원회(FRB) 체제를 확립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들의 형제인 맥스 워버그는 독일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록펠러 제국(Rockefeller Empire)
1853년 존 D. 록펠러(John D. Rockefeller)가 설립한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이 록펠러 제국의 기초를 이루었다. (현재는 분사한 엑손(Exxon)과 에쏘(Esso)가 더 잘 알려져 있다.) 록펠러 가문은 정치적으로도 공공연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J. D 록펠러 3세는 1952년 인구위원회(Population Council)를 설립했으며, 미국 인구성장률을 0으로 유지하는 운동을 후원해 왔다. 이 운동은 1972년 로렌스 록펠러(CFR, Bil, TC의 회원)가 닉슨 전 대통령에 의해 인구 증가에 관련된 국가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국가 정책에 반영되었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닉슨이 물러나고 포드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넬슨 앨드리치 록펠러가 부통령이 되었다(1974-77). 넬슨은 CFR 회원이자 UN 창설 당시 미국 대표단이기도 했다.
데이빗 록펠러는 체이스맨해턴 은행(Chase Manhattan Bank)의 행장이었으며, 1946년부터 53년까지 CFR 회장을 맡았다. 또 빌더베르크 그룹의 상임 위원이자 삼자위원회의 창설자로도 알려져 있다.
퍼시 록펠러는 모건 개런티 트러스트의 이사이며 해골과 뼈 클럽 회원이었다.
록펠러 가문은 국제연맹 창설 당시 자금을 지원했으며 뉴욕에 소유하고 있던 대지를 국제연합 본부에 기증했다.
관련 기업/가족
록펠러 가문의 통제권 아래 있는 기업으로는 체이스맨해턴 은행, 스탠더드 오일(엑소, 에쏘), 내셔널시티 은행(National City Bank), 하노버 국립은행(Hannover National Bank), 전미 트러스트 주식 회사(United States Trust Company), 뉴욕 생명 상호보험(Equitable Life and Mutual in New York) 등이 있다.
록펠러 가문의 사촌으로 1차 세계대전 당시 미 국무성에 근무했던 덜레스 형제(Dulles Brothers)가 있다. 이들은 베르사유 회의에 참석했으며, RIIA/CFR과 관계를 맺었고, 미국, 영국, 독일의 은행들과도 친분을 가졌다.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는 "우수 인종" 개념을 지지했고 히틀러의 지지자이기도 했는데, 미국 국무장관의 자리까지 올랐고, 같은 시기에 동생 앨런은 CIA 국장으로 일했다.
헨리 키신저(Dr. Henry Kissinger)
CFR, TC의 회원, 빌더베르크 그룹의 지도자이며 키신저 사업단(Kissinger Associates)을 캐링턴 경과 함께 이끌고 있다. 헨리 키신저는 RIIA, 체이스맨하탄 은행, 록펠러 재단 등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홀링거 그룹의 국제 고문이다. 닉슨 행정부에서는 국무장관 및 국가안보보좌관을 맡았다.
키신저는 베트남 전쟁을 촉발시킨 각종 사건에서 외교관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집트, 시리아, 이스라엘 사이에 벌어진 욤키푸르 전쟁(Yom Kippur War)의 발발에도 영향을 주었으나 오히려 1973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키신저는 스위스의 프리메이슨 알파인 로지(Alpine Freemason Lodge)의 회원이었고(현재 상태는 미확인) P2에서도 지도적 위치에 있었다.
'Freemason and Illumina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프리메이슨 (조직) (0) | 2010.11.19 |
---|---|
[스크랩] 시온 의정서 (유대인의 세계정복 음모) (0) | 2010.11.19 |
로마교황청 재테크(펌) (0) | 2010.11.19 |
예수회와 프리메이슨 (펌) (0) | 2010.11.19 |
예수회 (펌) (0) | 201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