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25/0200000000AKR20150625202700009.HTML
그리스 말고도 15개국 위험하다.
송고시간 | 2015/06/29 05:53
.
특히 포르투갈은 지난해 5월 구제금융을 졸업했으나 지난해 총 부채 비율이 국내총생산(GDP)의 13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여기에 부채의 70%를 외국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어 우려는 더 커진다.
.
한국 부채 중에서 "외국인투자자"들이 보유하는 비율은 얼마나 될까요?
.
미국의 금융전문매체 마켓워치는 부채 비율이 130% 수준에 도달하면 근본적으로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고 분석했다. 특히 이처럼 높은 부채 비율을 유지하려면 3% 이상의 성장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유로존에서는 그리스(177%, 2014년 IMF 예상치)와 포르투갈을 제외하면 이탈리아(132%)가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한다.
.
.
한국, GDP대비 부채비율 231%
2015년 4월 20일
.맥킨지글로벌연구소가 총 47개국을 대상으로 각국의 GDP 대비 부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GDP대비 우리나라의 부채 비율은 231%로 나타났다.
.
.
.
.
"안심"이 되십니까? 일본이 국내 총생산(GDP)대비 부채비율 1등
.
"안심"이 되십니까? 미국도 한국보다 부채비율이 높다니...
.
"안심"이 되십니까? 그리스(177%, 2014년 IMF 예상치)
.
한은 "금리 3%p오르면, 가계 위험부채비율 30%로 증가"
등록 일시 [2015-06-30 12:00:00]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630_0013760426&cID=10401&pID=10400
.
.
미국은 공식적으로 9월이나 늦어도 올 해 안에는 금리를 올리겠다고
.
선언을 했습니다....
.
이 나라는 "빚"내서 "집을사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
건설자본이 "죽기 직전이라고 합니다." ....
.
그 죽음을 대신 짊어질 "개인"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
메르스는 감기 "전염병"이라, 조그마한 관심을 보여줌니다....
.
건설자본을 살리기 위해, 그 건설회사에 막대한 돈을 대출해준 은행을 살리기 위해
.
빚내서 집사기를 권하는 정부,
.
그 책임은 최종적으로 힘없는 국민이 떠안아야만 합니다.
.
감기 전염병은 정부를 탓하기도 합니다만,
.
빚은 모두 개인이 책임을 져야한다고 합니다. 빚내서 "집을 사라고" 권했지
.
선택은 "자신이 본인이 한것이니, 본인이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
.
.
기업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니 살려줘야한다" 그리고 간혹 "비타500"도 준다.
.
그러나 "개인"은 본인이 책임을 져라!!!
.
한국이 세계1등을 하는 "자살률"이 떨어질 가능성은
.
더욱이 멀어만 질 뿐입니다....
.
.
한은 "금리 3%p오르면, 가계 위험부채비율 30%로 증가"
.
등록 일시 [2015-06-30 12:00:00]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630_0013760426&cID=10401&pID=10400
.
.
한국은행의 이 발표는 '국민들이 알아서 빨리 대비"를 하라는 신호입니다.
.
그러나 '빚을 진 개인이' 현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습니다...
.
시한폭탄에 정해진 폭발은 언제일까?
.
.
.
[m??ːrgid?] mortgage-[불][가] (특히 주택 자금 융자금을 빌리기 위한) (양도) 저당
-이 단어는 ‘mortal-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죽을 운명의
-(mortal, dead) + 약속(pledge’’이 합쳐진 단어라고 하는군요.
-mortgage loan-저당[담보] 융자, (특히) 주택 융자
'짬뽕 등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범 킬구 - 네티즌 의견 ( 펌 ) (0) | 2015.07.05 |
---|---|
[스크랩] 역대 정부별 대북 지원금액을 알고 있나요 ? (0) | 2015.07.02 |
[스크랩] 꼼작마라 빅브라더스가 간다 (0) | 2015.06.24 |
어느 동성애자의 양심 고백 ( 펌 ) (0) | 2015.06.19 |
[스크랩] 여전히 유효한 메르스 관련 의문 하나 (0) | 201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