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와 나찌에 대한 왜곡

[스크랩] 정말로 독일은 2차 대전 전범일까?

그리운 오공 2014. 3. 1. 15:45
Emil Ludwig  유태인 역사가 (佛)
“히틀러는 그 어떤 전쟁도 일으키지 못할 것이다. 대신 그는 강요된 전쟁에 휘말리게 될 것이다. 올해는 아니더라도 오래 지나지 않아...” - Les Annales, June, 1934

 

"Germany is too strong. We must destroy her." - Winston Churchill, Nov. 1936.

"독일은 너무 강합니다. 우린 독일을 꺾고야 말겠어요." - 윈스톤 처칠, 1936년 11월.

 

Joseph Trimble  유태인 변호사 (美)
“영국, 소련, 프랑스의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요직에 앉아있는 사람들은 바로 이스라엘의 아들들이다. 이스라엘의 세 아들은 곧 나치 독재자를 지옥으로 보낼 것이다.” - American Hebrew, June 3, 1938

 

William C. Bullitt  프랑스 미국대사
“단치히 문제와 관련하여 립스키를 비롯한 폴란드 외무성 관료들이 내린 결정은 포톡키 백작이 1938년 11월21일 텔레그램으로 보낸 보고서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포톡키 駐美 폴란드 대사는 당시 본국에 잠시 귀국해 있었던 윌리엄 C. 뷸릿 駐佛 미국대사로부터 루즈벨트 대통령은 곧 일어날 유럽의 전쟁에 기필코 미국을 참전시킬 것이라는 언질을 받았다. 뷸릿은 특히 그가 루즈벨트 대통령으로부터 각별한 신임을 받고 있다는 점을 포톡키에게 주지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뷸릿은 이제 곧 유럽에서는 장기간의 전쟁이 일어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으며 특히 “독일과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에 대해서는 극단적인 감정과 격렬한 증오심을 표출했다.” 그는 이번 전쟁에 6년이 소요될 것이며, 독일이 재기불능의 치명상을 입는 시점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톡키는 전쟁과 파괴에 대한 뷸릿과 루즈벨트의 열정에 공감할 수 없었다. 포톡키는 독일에게는 영국과 프랑스를 공격할 의사가 없음을 지적하며 그러한 전쟁이 어떻게 시작될 수 있는가를 물었다. 이에 뷸릿은 먼저 독일과 다른 국가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면 서방열강들(영국, 프랑스, 미국)이 反독일 전선에 개입하는 형태로 전쟁은 전개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소련과 독일의 전쟁을 시간문제로 받아들였던 뷸릿은 일단 소련과의 전쟁에서 힘을 소진한 독일은 결국 서방열강들에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견했다. 그는 만약 영국과 프랑스가 먼저 움직여준다면 미합중국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그들에 편에서 이 전쟁에 참전할 것이라는 의사를 포톡키에게 확인시켜 주었다. 뷸릿은 폴란드의 對 독일 대응방안에 대해 질문했고 포톡키는 폴란드는 자국의 서부국경 문제에 독일이 간섭하도록 허용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전쟁을 택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폴란드에 대해 강한 친근감을 표시하면서 뷸릿은 폴란드가 독일에 굳건하게 맞서줄 것을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David L. Hoggan, President Roosevelt and The Origins of the 1939 War, 1983)

 

리츠-스미글리  폴란드 육군원수
“폴란드는 독일과의 전쟁을 원하며 독일이 원치않더라도 독일은 이 전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 The Daily Mail, August 6, 1939

 

 

Poland occupying German territory stolen in 1914 invades Czechoslovakia (March, 1939). Numerous violations of German borders. Germany retaliates, Sept, 1939

1914년 빼앗긴 독일의 영토를 점령하고 있는 폴란드는 체코슬로바키아를 침략하다.(1939년 3월)

독일 접경지대의 수많은 침공. 1939년 9월, 독일이 보복하다.

 

Britain and France declare war on Germany, 3rd Sept, 1939. Germany retaliates. 10th May, 1940. British and French Troops routed. Canada declares war on Germany, 10th Sept, 1939.

1939년 9월 3일,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에게 전쟁을 선포하다.

1939년 9월 10일, 캐나다, 독일에 전쟁 선포 

9월 17일, 소련군 동쪽에서 폴란드 침공.

10월 6일, 히틀러, 영국, 프랑스에 화평 제안.

10월 10일, 프랑스, 화평제안 거부.

10월 12일, 영국 화평제안 거부.

1940년 5월 10일, 영국과 프랑스 군대는 퇴각했다.

 

Russia invades Finland, Nov 30th, 1939.

1939년 11월 30일, 러시아는 핀란드를 침략하다,

 

Britain and France invade Norway's neutrality, 8th April, 1940. Germany retaliates. 9th April. 2,000 German troops rout 13,000 British troops.

1940년 4월 8일, 영국과 프랑스는 노르웨이의 중립을 공격하다. 독일은 응수하다.

4월 9일 2000명의 독일 부대는 13,000 영국부대를 패배시키다.
 

Russia invades Latvia, Estonia, Lithuania and Rumania, June, 1940.

러시아의 랏비아, 에스토냐,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침공 - 1940년 6월 
 

Britain declares war on Finland, Rumania and Hungary, 7th Dec, 1941. British backed coup overthrows Yugoslav government, 27th March, 1941, British troops enter Greece, 6th April, 1941. Germany retaliates - Britain retreats.

영국의 전쟁선포 - 핀란드, 루마니아, 헝가리 - 1941년 12월 7일.
영국 군대, 유고슬라비아 정부 점령 - 1941년 3월 27일
영국 군대, 그리스 통과 - 1941년 4월 6일
독일의 반격 그리고 영국군의 후퇴. 
 

Britain prepares to invade neutral Portugal, June, 1940. Germany retaliates. 'Neutral' America attacks German shipping, Aug, 1941. Germany retaliates. "There can be no doubt that he (Hitler) broadened the war in 1941 on-ly on preventive grounds." - A.J.P. Taylor, British Historian.

영국군, 포르투칼 침공 준비 - 1940년 6월
독일 반격
중립국 미국이 독일 선박 공격 - 1941년 8월
독일 반격.

- " 1941년 히틀러가 전쟁을 더 키웠지만 예방적인 차원에서 한것이 틀림없다" - AJP Taylor, 영국 역사가

 

 

진주만  (읽기 힘드시면 밑의 빨간색 부분만 읽으세요.)

"진주만을 이해하기 위한 첫번째 스텝은 1941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는 미국을 전쟁이 끌어들이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강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다. 당시 일본이 중국을 침공 중이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미국이 미국과의 전쟁을 원치 않았던 일본과의 전쟁을 위해 일본을 상대로 다양한 도발적 조치들을 취했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었다. 루즈벨트 정부는 미국내 일본의 자산을 동결했고 파나마 운하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일본에 대한 점증적인 무역봉쇄는 결국 영국과의 공조하에 무제한적 봉쇄조치로 이어졌다. 이로인해 일본은 중국과의 전쟁을 계속하는데 필요한 석유 및 기타 전략자원의 수급이 불가능해졌다. 미국정부는 또한 수차례에 걸쳐 도쿄를 상대로 미국의 군사적 대응을 암시하기도 했다. 그리고 진주만 공습 11일 전인 11월26일 미국은 일본에 최후통첩을 보내기에 이른다. 최후통첩에서 미국은 무역봉쇄 해제에 대한 조건으로, 중국, 인도차이나로부터 일본군이 완전히 철수할 것과 독일 이탈리아와의 추축동맹에서 탈퇴할 것을 요구했다. 미국 前해군성장관 보좌관을 지냈던 프랭크 비티는 후일 이렇게 섰다, “1941년 12월7일(진주만 공습일) 전까지 미국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일본을 코너에 몰아붙이고 있었다는 것은 누가봐도 명백한 사실이었다... 우리가 요구한, 예를 들어 일본군의 중국 철수는 일본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이라는 것을 우리도 잘 알고 있었다. 사실 우리는 그들이 그 요구를 수용하지 않기를 바랬다.” 전시 영국 생산성장관 올리버 리틀튼은 1944년 좀더 솔직하게 시인했다, “일본의 진주만 공습은 미국이 취한 도발적인 조치들에 연유한다. 미국이 어쩔 수 없이 2차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는 얘기는 어설픈 코미디다.”... 많은 사람들은 FDR이 일본과의 전쟁을 원했던 이유는 일본이라는 “뒷문”을 통해 미국의 지배적인 반전여론을 무력화시킨뒤 더욱 중요한 유럽전선에 미국을 참전시키기 위함이었다고 증언한다. 루즈벨트의 내무장관(Secretary of the Interior) 해롤드 아이크스의 1941일 10월 발언은 그와같은 의도를 입증한다, “오래전부터 나는 유럽의 전쟁에 미국을 참전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일본을 거치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다.” 실로 미국의 대통령은 독일의 군사적대응을 촉발시키기 위한 도발행위들도 서슴치 않았다. 진주만공습으로 인한 독일과의 개전 전부터 루즈벨트 행정부는 미국 내 독일의 자산을 동결했으며 미군을 동원해 아이슬란드를 점령했다. 또한 미국의 중립법(Neutrality Act)을 위반해가면서 까지 랜드리스 법안을 통과시켜 50척의 구축함등, 막대한 전쟁물자를 영국에 지원했다. 또한 루즈벨트는 미국인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 수중폭뢰로 독일의 잠수함을 공격할 것을 비밀리에 지시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독일은 철저하게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한마디로 독일은 미끼를 물지 않았다. 독일은 미국의 참전으로 1차대전에서 패한 뼈아픈 경험을 기억하고 있었고 또한 이를 되풀이 할 생각이 없었다. 그럼에도 FDR은 만약 일본과 미국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면 3국동맹의 의무사항으로 인해 독일이 미국에 선전포고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은 수만명의 일본계 미국인들이 전쟁기간 동안 네바다의 강제수용소에서 지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진주만공습이 일어나기 이미 수개월 전부터 미국의 인구조사국(Census Bureau)이 루즈벨트의 지시 하에 서부지역에 거주하는 일본계 미국인들의 명단과 주소를 확보해놓고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 운명의 날이 오기 전 대통령은 이미 천만명의 병력동원 방안을 강구하고 있었다...

 

 

런던 폭격에 대한 독일공군의 에이스 "Hajo Hermann"의 말

 

"나는 런던을 폭격했다. 왜냐면 영국인이 베를린을 먼저 강력하게 폭격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강력한 보복을 한것일 뿐이다. 우리가 반격하자 히틀러 총통은 "악인들"에게 "만약 영국이 폭격을 중지한다면 우리도 중지하겠다."고 얘기했다. 하지만 영국은 중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신이여 우리를 도우소서. 나는 영국에 23회 공습을 나가서 폭탄을 투하했다. 그리고 다른 도시에게는 미안하다."

- Hajo Hermann, 독일공군의 에이스(백엽 검 기사 철십자훈장 수훈자) -

 

"I bombed London, because the English were already at work bombing Berlin and very heavily.  And we on-ly did it by way of retaliation.  We hit back, and Adolf Hitler, the \'evil man\', always used to say "if the british stop, then we will stop too".  But the British didn\'t stop.  So, God help me, I flew to London 23 times and dropped my bombs down on to it.  In the city and I don\'t know what other parts of the town, it was very regrettable.  

  -  Hajo Hermann, Luftwaffe ace

 

 

히틀러가 영국에 제안한 전쟁 방안

 

1. 가스폭탄, 유독성폭탄 혹은 소이탄 투척 금지
2. 전선이 아닌 곳에 폭탄 투척 금지
3. 전쟁 지역으로부터 사정거리12마일이 넘는 미사일 무기 금지

 

  

만약 인접국가들이 독일과 똑같이 완벽한 수준으로 무장해제를 하여준다면, 독일은 그의 전 군사시설을 완벽하게 무장해제 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남은 소량의 무기도 해체할 것이다. 독일은 세계 여타 국가들이 같이 동반만하여 준다면, 언제든지 공격용 무기를 포기할 준비가 되어있다. 독일은 안보만 생각하지, 누군가를 공격할 의사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주요 비 침략협정에 대해서도 동의할 준비가 되어있다. - 아돌프 히틀러


 

하지만 무시당했다.
 

 

http://cafe.naver.com/nazzis/2424 - 출처

출처 : 자유토론
글쓴이 : 개구장이 원글보기
메모 :